-
가르치다 가르키다 차이
혼동하기 쉬운 말 중에 '가르치다'와 '가르키다'가 있습니다. 가령 '영어를 가르치다'와 '영어를 가르키다' 중에 어느 표현이 바른 표현일까요? '영어를 가르치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그럼 '가르치다 가르키다'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다음과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가르치다'는 지식이나 기술, 잘못, 사실 등을 깨닭게 하거나, 익히게 하거나, 알게 하도록 한다는 뜻이며, '가르키다'는 '가리키다'의 비표준어입니다. '가리키다'는 방향이나 물건 등을 손이나 표정 등으로 알려주거나, 짚어보이 거나, 어떤 명칭을 지칭하다는 뜻입니다. 또한 '가르키다'는 '가리키다'의 비표준어이므로 사용해선 안됩니다. 그럼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타동사로서 가르쳐, 가르치니, 가르치고, 가르쳐서 등으로..
바른용어
2017. 8. 20.
-
배다 베다 차이
발음이 비슷해 그 의미가 혼동되는 단어 중에 '배다와 베다'가 있습니다. '배다 베다'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두 단어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그 의미가 전혀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럼 두 단어의 뜻과 쓰임새에 대해 아래와 같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배다'는 일이 몸에 배다. 습관이 몸에 배다, 새끼를 배다. 알을 배다, 애국심이 몸에 배다 등으로 사용되며, '베다'는 칼에 손가락을 베다. 베개를 베다, 풀을 베다, 사과를 한입 베어 물다 등으로 사용되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1. 뜻(의미) 품사는 자동사로서, 배어, 배니, 배고 등으로 변화 활용되며,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냄새나 물기 등이 스며들거나 스며나오다. ② 행동, 생각 등이 익숙해지다. ③ 감정이나 마음 등이 느껴지도록 나타나다. ④ 아기,..
바른용어
2017.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