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어저께 그제 그저께 엊그제 엊그저께 차이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 중에 '어제 어저께 그제 그저께 엊그제 엊그저께'가 있는데요, 간혹 의미가 혼동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이 단어들의 정확한 의미를 아래와 같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어제와 어저께는 표준어규정에 의거 동일한 의미의 복수표준어로 오늘 시점을 기준으로 바로 하루 전날을 뜻하는 말입니다. (예) 어제는 비가 내리더니 오늘은 비가 그쳤다. (예) 어저께 서울 갔다가 오늘 집에 왔다. (예) 어제 약속한 일을 벌써 잊어버렸냐? 그제와 그저께는 동일한 말로 오늘 시점을 기준으로 이틀 전날을 뜻하는 말입니다. 즉, 어제의 전날을 말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그제'는 '그저께'의 준말이므로 본말은 '그저께'가 됩니다. (예) 나는 그제부터 감기 기운으로 고생하고 있다. (예) 그는 그저께 .. 지식상식 2017. 11. 11. 데프콘 단계 및 발령 권한 데프콘이란 '대북 전투준비태세'로서, 전쟁 발발 가능성의 정도에 따라 1~5단계로 나누어져 있는데, 북한의 군사활동을 감시하는 대북 정보 감시태세인 워치콘(Watch Condition)의 분석에 따라 '정규전'에 대비해 전군에 단계별로 발령하게 됩니다. 데프콘 단계는 1~5단계로 나누며, 숫자가 낮을수록 전쟁 발발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데프콘 발령 권한은 한미연합사령관에게 있으며, 우리나라는 평상시 데프콘 4 상태가 유지됩니다. 참고로 데프콘을 발령 할 수 있는 사람은 한미연합사령관이지만, 데프콘을 발령할 때는 한국 대통령과 미국 대통령이 동의해 주어야 합니다. ① 데프콘 5단계 전쟁 위험이 없는 상태입니다. ② 데프콘 4단계 전쟁 가능성이 상존하는 경우입니다. (우리나라는 평상시에 4단계를 유지.. 지식상식 2017. 10. 27. 주식과 채권의 차이 주식과 채권은 자금을 조달한다는 점에서는 둘 다 같습니다. 주식과 채권은 자본을 마련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유가증권 중에서도 자본증권이라고도 하는데요, 같은 자본증권이라고 할지라도 이 둘은 확연히 다른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럼 주식과 채권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아래과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은 주식회사가 사업밑천인 자본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증서이며, 채권은 정부나 공공기관, 특수법인, 금융기관, 주식회사가 사업자금 마련을 위해 빛을 낼 때 발행하는 증서입니다. 기업의 주식을 갖고 있는 사람은 주주로서 보유한 주식 금액에 비례하는 영향력과 책임을 가지고 기업 경영에 참여할 수 있으나, 기업의 채권을 소유한 사람은 기업 경영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채권의 경우 만기가 되었을 때 원금과 이자만 .. 지식상식 2017. 10. 6. 선물거래란 물품거래는 현물거래와 선물거래로 크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현물거래란 현재 시세로 물품계약을 체결하고 매매하는 것으로, 즉, 현재시점에서 물품을 사고 파는 거래를 말하며, 다른 말로는 실물거래 또는 직물거래라고 합니다. 그럼 선물거래란 무엇일까요? 아래와 같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미래에 나오게 될 물품(상품)을 미리 사두거나 파는 거래 입니다. 선물은 영어로는 Futures라고 하며, 물품은 나중에 받기로 하고 대금은 그 물품(상품)의 현재 시세로 미리 치르는 것입니다. 만약 배추 1톤을 선물거래로 3백만원에 거래했는데, 배추를 받기로 한 시점에 심한 가뭄이 들어 배추 가격이 2배로 올랐다면 선물거래로 돈을 미리 준 사람은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배추를 공급하는 사람은 오른 가격.. 지식상식 2017. 10. 5. 제1금융권 제 2금융권이란 제 3금융권이란 금융권에도 순위가 있어 제1금융권, 제2금융권, 제3금융권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출금리의 경우 제1금융권이 가장 저렴하며, 제2금융권은 제3금융권보다는 저렴하지만, 제1금융권보다는 비싼데요,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 제 3금융권이란 무엇인지 다음과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대도시에 본점이 있고 전국의 중소도시에 지점망을 가진 시중은행(일반은행)을 비롯해, 특정지역에서 독자적으로 영업하는 지방은행, 특별법규를 적용받는 특수 은행 등이 제1금융권에 속합니다. 제1금융권에 속하는 은행은 금융권에서 대출 금리가 가장 저렴합니다. ① 시중은행(일반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시티은행,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등이 있습니다. ② 지방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전북은행 등이 있습니다. ③ 특수은행 기.. 지식상식 2017. 9. 12. 매몰비용이란 무엇이며 매몰비용 사례는 디지털 카메라를 50만원 주고 새로 사서 오다가 그만 깜빡 잊고 지하철 좌석에 두고 내렸는데, 그 후 영영 찾지 못했다면 매우 아깝고 속이 상하게 될 겁니다. 또, 연금복권을 다섯장 구입했는데, 잘못 보관하여 그만 분실하고 말았습니다. 정말 속에서 화가 치밀어 오를텐데요, 바로 이렇게 소비된 돈을 바로 매몰비용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미 지출해서 회수가 도저히 불가능한 비용이라는 뜻입니다. 새차를 몰고가다 실수로 물속에 빠진 후 자신만 간신히 구사일생으로 살아났고, 새차는 영영 사용 할 수 없게 되었다면 새차를 구입할 때 지출한 비용은 결국 매몰비용인 것입니다. 영영 회수가 불가능하니까요! 매몰비용은 정말 이렇게 아까운 비용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아까워도 도저히 회수할 수 없는 상태에 놓였다는 것이 .. 지식상식 2017. 9. 11. 거시기 표준어 맞을까 말을 하려는데, 하고 싶은 말이 얼른 생각이 나지 않을 경우 여러분은 뭐라고 표현하시나요? 많은 분들이 '거시기'라고 표현하지요? 그런데 거시기는 표준어 일까요? 사투리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거시기는 표준어가 맞습니다. 그럼 '거시기'의 뜻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1. 대명사로 사용하는 경우 ① 얘기할 때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이 바로 생각나지 않는 경우 그 사람이나 그 사물을 가리킬 때 쓰는 말(호칭) (예시) 너 며칠전에 찻집에서 만났던 거시기 이름이 뭔지 생각나니? (예시) 며칠전에 횟집에서 먹었던 거시기가 뭐더라? ② 바로 말하기 곤란한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킬 때 쓰는 말(호칭) (예시) 내가 몰래 만나는 거시기를 너에게 소개하기가 곤란하다. (예시)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거시.. 지식상식 2017. 9. 10.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