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도 순위가 있어 제1금융권, 제2금융권, 제3금융권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출금리의 경우 제1금융권이 가장 저렴하며, 제2금융권은
제3금융권보다는 저렴하지만, 제1금융권보다는 비싼데요,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
제 3금융권이란 무엇인지 다음과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제1금융권이란>
대도시에 본점이 있고 전국의 중소도시에 지점망을 가진 시중은행(일반은행)을
비롯해, 특정지역에서 독자적으로 영업하는 지방은행, 특별법규를 적용받는 특수
은행 등이 제1금융권에 속합니다. 제1금융권에 속하는 은행은 금융권에서 대출
금리가 가장 저렴합니다.
① 시중은행(일반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시티은행,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등이 있습니다.
② 지방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전북은행 등이 있습니다.
③ 특수은행
기업은행, 외환은행, NH농협은행, 축협은행, 수협은행 등이 있습니다.
<제 2금융권이란>
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금융기관으로 증권회사, 보험회사,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투자신탁회사, 종합금융회사, 신용협동조합, 지역농협, 지역수협, 지역축협,
할부금융업체(캐피탈) 등이 제 2금융권에 속합니다. 제 2금융권이라는 명칭은
은행과 구별하기 위해 만든 용어입니다. 제 1금융권보다는 대출금리가 비싸지만
대부업체보다는 저렴합니다.
<제 3금융권이란>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을 제외한 금융회사로서 주로 허가된 '대부업체'를 의미
합니다. 신용도가 나빠 제 1금융권이나 제 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운
서민들이 많이 이용하며, 제 2금융권보다도 대출금리가 비싸며, 대부분 20%가
넘는 금리로 대출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과거에는 대부업체를 이용했을 경우 금리와 관계없이 신용도 하락에
영향을 주었지만, 지금은 대부업의 경우도 저금리로 대출받는다면 신용도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20% 이상의 금리가 적용되므로
이용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식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과 채권의 차이 (0) | 2017.10.06 |
---|---|
선물거래란 (0) | 2017.10.05 |
매몰비용이란 무엇이며 매몰비용 사례는 (0) | 2017.09.11 |
거시기 표준어 맞을까 (0) | 2017.09.10 |
역임하다 역임 뜻 (0) | 2017.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