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장 절 몇번 하며 절하는법은 연세드시고 조문 경험이 많은 분들이야 장례식장 절하는법을 잘 알고있지만 젊은 사람이나 조문 경험이 많지 않은 사람은 장례식장 절하는법은 물론 장례식장에서 몇번 절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장례식장 에서 절하는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고인의 영정에 절을 두번하고 상주에게 절을 한번하면 되는데,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하면 됩니다. 먼저 향을 피우고 (이미 타고있는 향이 많으면 생략) 고인의 영정을 향해 몇초간 묵념한 뒤에 고인의 영정을 향해 두번 절을 한 다음에 선 채로 다시 고인의 영정을 향해 반절하면 됩니다. 다음은 상주를 향해 한번 절을 한 다음에 "명복을 빕니다" "얼마나 상심이 크십니까?" 등으로 인사를 건내면 됩니다. 1. 남성 일단 절을 하기 전에 두 손을 모아 공수를 .. 지식상식 2018. 1. 28. 발톱 손톱 자라는 속도 상식 손톱과 발톱 중 어느 것이 더 빨리 자랄까요? 손톱과 발톱자라는 속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손톱과 발톱은 하루에 일정한 크기로 자라 나게 되는데, 사람에 따라 더 빠르거나 느리게 자라날 수도 있습니다. 이 글 에서는 보통 사람들의 손발톱 자라는 속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손톱은 보통 하루에 약 0.1mm씩 자라는데, 하루 중 낮보다는 밤에 더 자라며, 겨울보다는 여름에 더 빨리 자라게 됩니다. 발톱은 보통 하루에 약 0.05mm씩 자라는데, 손톱과 마찬가지로 하루 중 낮 보다는 밤에 더 자라며, 계절적으로는 겨울보다 여름에 더 빨리 자랍니다. 손톱이 발톱보다 약 2배 정도 빨리 자라는데요, 그 이유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손톱이 발톱보다 심장에 가까워 혈액을 통한 산.. 지식상식 2018. 1. 27. 편견과 선입견 뜻 및 차이 일반적으로 어떤 대상에 대해 부정적인 선입견을 가지고 있으면 편견이 발생하는데요, 하물며 다수의 의견일지라도 그 것이 사실이 아니고 편견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편견은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조성에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럼 편견과 선입견은 어떤 의미이며 그 차이는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사실 편견과 선입견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사전적인 설명을 토대로 제 의견을 포함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드리 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어도 너그럽게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편견은 이미 가지고 있는 고정적인 관념으로 인해 어떤 일에 대해 공정 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쳐 주로 부정적인 쪽으로 생각하는 것인데 반해, 선입견 (선입관)은 먼저 들은 말이나 간접.. 지식상식 2018. 1. 22. 오랜만이야 영어로 표현하기 정말 오랜만에 우연히 길에서 친구를 만나면 너무 반가워서 "오랜만이야. 친구!"라고 인사를 건내게 되는데요, 외국인 친구를 모처럼 만났을 때 영어 로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아래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어로는 It's been a while이라고 표현하면 됩니다. 아주 간단하지요? 또 다른 표현으로는 Long time no see로 표현해도 됩니다. 이 두 문장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while이라는 단어는 '~~하는 동안에'라는 의미를 지닌 접속사와 '동안, 잠시, 잠깐' 등의 의미를 지닌 명사로 사용됩니다. 그럼 좀 더 오랜만이라는 점을 강조해서 "정말 오랜만이야!"라고 표현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물론 위의 문장에도 정말 오랜만이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지만, 다른 표현으로는.. 지식상식 2017. 12. 16. 삼배구고두례 의식 중국 청나라에서 황제나 대신을 만났을 때 머리를 조아려 절하는 예법으로 세번 절을 하게 되는데, 한번 절을 할 때마다 이마를 바닥에 부딪칠 정도로 세번이나 머리를 조아리는 방식을 '삼배구고두례 의식'이라고 합니다. 삼배구고두례는 한번 큰절을 올린 다음 이마가 바닥에 부딪치도록 세번을 반복해 조아리고, 다시 두번째 큰절을 올린 다음 이마가 바닥에 부딪치도록 세번을 반복해 조아리고, 마지막으로 세번째 큰절을 올린 다음에도 이마가 바닥에 부딪치도록 세번을 반복해 조아리는 방식으로 절을 하게 됩니다. 청나라가 1636년 전쟁을 일으켜 조선에 쳐들온 것을 병자호란이라 하는데, 전쟁에 항복한 조선의 임금인 인조는 1637년 1월 30일 곤룡포(임금의 의복) 대신 쪽빛 평민복을 입고 맨발로 삼전도(현재 서울시 송파).. 지식상식 2017. 11. 24. 화성 공전주기 및 자전주기 붉게 보이는 화성은 태양계에서 네번째에 위치한 행성으로, 크기는 지구의 절반이며, 붉은색으로 보이는 행성으로 유명합니다. 지구와 가장 비슷한 행성으로 생명체가 존재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지게 하는 행성인데요, 화성 공전주기 및 자전주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화성의 공전주기는 687일이며, 지구의 2배 정도입니다. 여기서 공전 이란 하나의 천체가 다른 천체 둘레를 주기적으로 도는 것을 말하며, 주로 지구를 비롯한 행성들이 태양 둘레를 주기적으로 도는 것을 말합니다. 화성의 자전주기는 24시간 37분으로 지구와 비슷하며 자전축이 약 2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도 나타납니다. 여기서 자전 이란 하나의 천체가 그 자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스로 회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화성은 지구와 비.. 지식상식 2017. 11. 22. 어제 어저께 그제 그저께 엊그제 엊그저께 차이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 중에 '어제 어저께 그제 그저께 엊그제 엊그저께'가 있는데요, 간혹 의미가 혼동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이 단어들의 정확한 의미를 아래와 같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어제와 어저께는 표준어규정에 의거 동일한 의미의 복수표준어로 오늘 시점을 기준으로 바로 하루 전날을 뜻하는 말입니다. (예) 어제는 비가 내리더니 오늘은 비가 그쳤다. (예) 어저께 서울 갔다가 오늘 집에 왔다. (예) 어제 약속한 일을 벌써 잊어버렸냐? 그제와 그저께는 동일한 말로 오늘 시점을 기준으로 이틀 전날을 뜻하는 말입니다. 즉, 어제의 전날을 말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그제'는 '그저께'의 준말이므로 본말은 '그저께'가 됩니다. (예) 나는 그제부터 감기 기운으로 고생하고 있다. (예) 그는 그저께 .. 지식상식 2017. 11. 11.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