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는 눈 이에는 이 사자성어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이 말은 '해를 입은 만큼 앙갚음하는 것'을 뜻합니다. 즉, 해를 입은 만큼 그대로 앙갚음하겠다는 뜻인데요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안환안(以眼還眼) 이아환아(以牙還牙)입니다. ※ 이안환안 이아환아(以眼還眼 以牙還牙)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말로 해를 입은 만큼 앙갚음하겠다는 의미. ① 이안환안(以眼還眼) '눈에는 눈'이라는 말로, 해를 입은 만큼 앙갚음하겠다는 의미. ② 이아환아(以牙還牙) '이에는 이'라는 말로, 해를 입은 만큼 앙갚음하겠다는 의미. ① 이포이포(以暴易暴) '폭력으로 폭력을 다스린다'는 말로, 해를 입은 만큼 되갚겠다는 의.. 성어속담 2023. 9. 14. 백년하청 반대 뜻 사자성어 백년하청과 반대되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백년하청 반대 뜻을 지닌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어떤 일이 아무리 오랜 시간이 흘러도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 백년하청(百年河淸) 어떤 일이 아무리 오랜 시간이 흘러도 이루어지기 어려움. (예) 그 일은 백년하청이 될 수 밖에 없다.(예) 그가 원하는 일은 백년하청과 다름없다. 1. 유지경성(有志竟成) 뜻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성공한다는 뜻. 2. 유지처재도(有志處在道) 뜻이 있는 곳에 성공할 수 있는 길이 있다는 뜻. 3. 지재유경(志在有逕) 뜻이 있으면 성공할 수 있는 길이 있다는 뜻. 4. 백절불굴(百折不屈) 수없이 많이 꺾여도 굴하지 않고 이겨 나간다는 뜻. 5. 백절불요(百折不撓) 수없이 많이.. 성어속담 2023. 9. 7. 큰 뜻을 품다 한자 큰 뜻을 품다는 의미를 지닌 한자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큰 뜻을 품다 한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개신창래(開新創來)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새 뜻과 새 각오로 새로운 길을 감. 2. 대지(大志) 마음에 품은 큰 뜻. 3. 곡지(鵠志) 높고 크게 품은 뜻. 4. 불비불명(不飛不鳴) 큰일을 하기 위해 조용히 적절한 때를 기다림. 5. 장지(壯志) 마음에 품은 장하고 큰 뜻. 6. 장심(壯心) 마음에 품은 장하고 큰 뜻. 7. 야심(野心) 무엇을 이루고자 마음 속에 품고 있는 욕망. 8. 야심만만(野心滿滿) 무엇을 이루어 보겠다는 욕망이나 소망이 마음속에 가득함. 9. 야망(野望) 앞날에 큰일을 이루고자 하는 소망. 10. 웅지(雄志) 웅대한 뜻. 11. 청운지지(靑雲之志) 높.. 성어속담 2023. 8. 30. 논공행상 뜻 및 유래 '논공행상'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논공행상은 어떤 뜻일까요? 논공행상 뜻, 논공행상 유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공로의 크고 작음 따위를 논의하여 그에 알맞은 상을 준다는 뜻입니다. 즉, 공로에 따라 그에 알맞은 상을 준다는 의미입니다. ※ 논공행상(論功行賞) 공로에 따라 그에 알맞은 상을 줌. (예) 그는 논공행상에서 제외되었다.(예) 선거 후 논공행상에서 중책을 부여받았다. 논공행상(論功行賞)의 개별 한자의 뜻은 (論 : 의논할 논) (功 : 공 공) (行 : 갈 행) (賞 : 상줄 상)입니다. 과거에는 신하들의 공적에 따라 논공행상을 실시하고, 1등 공신, 2등 공신, 3등 공신 등으로 구분하여 예우를 해주었습니다. 출전은 중국 삼국지입니다. 위나라 문제 조비는 한나라를 멸망시키고.. 성어속담 2023. 8. 21. 세월 사자성어 세월과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세월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광음여류(光陰如流) 세월은 흐르는 물과 같다는 말로, 한번 가면 되돌아오지 않는다는 뜻. 2. 광음여시(光陰如矢) 세월이 화살과 같이 빨리 지나간다는 뜻. 3. 광음여전(光陰如箭) 세월이 화살과 같이 빨리 지나간다는 뜻. 4. 만고상청(萬古常靑)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변함없이 언제나 푸르름을 뜻함. 5. 만고불변(萬古不變)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변하지 아니함을 뜻함. 6. 만고불멸(萬古不滅)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없어지지 아니한다는 뜻. 7. 만고천추(萬古千秋) 천만 년의 세월. 즉 영원한 세월. 8. 만고풍상(萬古風霜) 아주 오랜 세월 동안 겪어 온 많은 고생을 뜻함. 9. 무정세월(無情歲月) 덧없.. 성어속담 2023. 8. 15.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뜻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는 어떤 뜻일까요?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는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직업의 귀천을 따질 것 없이 악착같이 돈을 벌고 그 돈을 보람되게 쓰거나 그 돈으로 아주 여유 있고 고상하게 살면 된다는 뜻입니다.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직업의 귀천을 따지지 말고 열심히 돈을 벌어 보람있게 쓰거나 여유있고 고상하게 살면 된다는 뜻. (예)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고 노동으로 번 돈을 장학금으로 기부했다. (예) 개같이 벌어 정승같이 쓴다고 나는 악착같이 모은 돈으로 외국 여행을 가기로 했다. 개같이 번다는 것은 험하고 궂은일을 마다하지 않고 악착같이 일해서 돈을 모은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정승같이 쓴다.. 성어속담 2023. 8. 11. 범부중생 뜻 '범부중생'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범부중생은 어떤 뜻일까요? 범부중생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는 평범한 사람들이라는 뜻이며, 불교에서는 지혜가 얕고 우둔해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① 범부(凡夫) 평범한 사람, 불교에서는 번뇌에 얽매여 생사를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 ② 중생(衆生) 많은 사람. 불교에서는 모든 살아 있는 무리. ③ 범부중생(凡夫衆生) 평범한 사람들. 불교에서는 지혜가 얕고 우둔해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 사람들. (예) 저는 범부중생에 불과합니다.(예) 그 역시 범부중생에 불과하다.(예) 범부중생인 제가 뭘 알겠습니까?(예) 불교에서는 어리석은 사람들을 범부중생이라고 한다. ① 갑남을녀(甲男乙女)갑이란 남자와 을이란 여자라는 말로, 평범한 사람들을.. 성어속담 2023. 8. 5. 이전 1 2 3 4 5 6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