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의 가족 사자성어 가족관련 사자성어 임금의 가족을 뜻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임금의 가족 사자성어와 가족관련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경지옥엽(瓊枝玉葉) 임금의 일족(一族)을 높여 이르는 말. 아주 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2. 금지옥엽(金枝玉葉) 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이란 말로 임금의 일족(一族)을 높여 이르는 말. 아주 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1. 가화만복(家和萬福) 집안이 화목하면 만복의 근원이 됨. 2.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됨. 3. 각방거처(各房居處) 한집에 살면서 각각 딴 방에 거처함. 4. 경전서후(耕前鋤後) 부부가 서로 극진하게 도우며 일함. 5. 경애화락(敬愛和樂) 서로 존경하고 사랑하며 화합하면서 즐겁게 삶. 6. 내조지공(內助之功).. 성어속담 2023. 1. 15. 사후약방문 유래 및 뜻 사후 약방문이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사후 약방문은 어떤 뜻일까요? 사후약방문 유래 및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죽은 뒤에 약의 처방을 한다는 말로, 때가 지난 뒤에 어리석게 애를 쓰는 경우를 뜻함. (예문) 이제 와서 용서를 빌어 봤자 사후 약방문에 불과하다. (예문) 이미 결정이 된 다음에 이러쿵저러쿵 해봤자 사후 약방문일 뿐이다. '한서'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한 나그네가 굴뚝 바로 옆에 땔감이 잔득 쌓여 있는 것을 보고 집주인에게 땔감을 옮겨 불이 나는 것을 예방하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집주인은 그 말을 귀담아 듣지않고 있다가 결국 큰 불이 나고 말았습니다. 이웃 사람들이 불을 끄는 것을 도와주어 집주인은 큰 피해를 면할 수 있었습니다. 집주인은 이웃에 대한 고마움으로 이웃들에게 술과 음식을 .. 성어속담 2023. 1. 11. 이왕이면 다홍치마 뜻 이왕이면 다홍치마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이왕이면 다홍치마는 어떤 뜻일까요? 이왕이면 다홍치마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값이 같거나 같은 노력이 든다면 품질이 더 좋은 것을 선택한다는 뜻. '이왕이면 다홍치마'의 원래 말은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입니다.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를 '이왕이면 다홍치마'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문)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같은 귤이라도 예쁜 것을 골라야지. (예문)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같은 값의 옷이라도 색깔이 더 화려한 것을 골라야지. '이왕이면 다홍치마'라는 속담은 그 옛날 청나라에 공녀로 끌려가던 우리나라의 처녀들 때문에 생긴 것입니다. 당시 청나라에 공녀로 끌려가게 된 여인들의 복장은 처녀는 '홍상(紅裳)' 즉 다홍치마였고, 과부나 기생이 입던 치마는 .. 성어속담 2022. 12. 30. 구관이 명관 뜻 구관이 명관이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구관이 명관은 어떤 뜻일까요? 구관이 명관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어떤 일에 경험이 많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낫다는 뜻. (예문) 구관이 명관이라고, 옛날 주인이 훨씬 더 음식을 잘 하는구먼. (예문) 구관이 명관이라고, 나이 많은 노인이 힘은 딸리지만 젊은 사람보다 기술이 훨씬 더 좋구먼. ② 나중 사람을 겪어 봄으로써 먼저 사람이 더 좋았음을 알게 된다는 뜻. (예문) 구관이 명관이라고, 단골 식당의 주인이 바뀌면서 그전 주인의 넉넉한 인심이 얼마나 좋았었는지 이제야 알겠구먼. (예문) 구관이 명관이라고, 호랑이처럼 무서운 선생님이 부임하니 그전 선생님이 인자했다는 것을 깨닭았다. 이 속담은 나중 사람을 겪어보니 이전 사람이 정말 잘했다는 것을 .. 성어속담 2022. 12. 26. 나무 속담 나무와 관련된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나무 속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날 없다. 가지가 많은 나무는 살랑거리는 바람에도 가지가 흔들려 잠시도 조용한 날이 없듯이, 자식이 많은 부모는 근심걱정이 끊일 날이 없다는 뜻. 2. 가지 많은 나무가 잠잠할 적 없다. 가지가 많고 잎이 무성한 나무는 살랑거리는 바람에도 잎이 흔들려 잠시도 조용한 날이 없다는 말로, 자식이 많은 부모는 근심걱정이 끊일 날이 없다는 뜻. 3. 굽은 나무가 선산을 지킨다. 쓸모없어 보이는 것이 결국 제구실을 한다는 뜻. 4. 나무가 커야 그늘도 크다. 훌륭한 사람일수록 그가 미치는 영향이나 혜택도 크다는 뜻. 5. 나무도 나이 들면 속이 빈다. 무엇이나 오래되면 탈이 나거나 못 쓰게 된다는 뜻. 6.. 성어속담 2022. 12. 24. 꿀먹은 벙어리 뜻 및 유래 꿀먹은 벙어리라는 말이 있는데요, 꿀먹은 벙어리는 어떤 뜻일까요? 꿀먹은 벙어리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속에 있는 생각을 겉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사람을 뜻함. (예) 그는 꿀 먹은 벙어리처럼 아무런 말도 못했다. (예) 그녀는 꿀 먹은 벙어리가 된 듯 말이 없었다. (예) 그들은 꿀 먹은 벙어리 꼴로 서로 눈만 말똥거렸다. (예) 그녀는 왜 갑자기 꿀 먹은 벙어리가 되었는지 모르겠다. 옛날에 어떤 벙어리가 꿀을 너무 많이 먹어 배탈이 났다. 아내가 왜그러냐고 묻자 계속 꿀단지만 손으로 가리켰다. 아내는 남편이 꿀이 먹고 싶어서 그러는 줄 알고 꿀물을 탔다. 꿀을 많이 먹어 배탈이 났는데 또 꿀을 먹으라니 벙어리는 너무나 애가 탔다. 이리하여 '꿀먹은 벙어리'라는 말이 생겨났다. 1. 전당 잡은 촛대... 성어속담 2022. 12. 20.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사자성어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하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국태민안(國泰民安)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들의 생활이 평안함. 2. 고복격양(鼓腹擊壤) 배를 두드리고 땅을 구르다는 말로, 백성들이 풍족한 생활을 하며 태평세월을 누린다는 뜻. 3. 안가낙업(安家樂業) 편안하게 살면서 즐거이 일함. 4. 안거낙업(安居樂業) 편안하게 살면서 즐거이 일함. 5. 태평성대(太平聖代) 나라에 혼란 따위가 없어 백성들이 편안히 지내는 시대. 6. 태평성세(太平聖歲) 나라에 혼란 따위가 없어 백성들이 편안히 지내는 시대. 7. 태평천하(太平天下) 태평스럽고 편안한 세상. 8. 천하태평(天下泰平) 세상이 태평함. 9. 제세안민(濟世安民).. 성어속담 2022. 12. 16. 이전 1 ··· 3 4 5 6 7 8 9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