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이 되는 말 어려울 때 용기를 주고 힘이 되는 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힘이 되는 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고진감래(苦盡甘來)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 2. 근자필성(勤者必成) 부지런한 사람은 반드시 성공함. 3. 대기만성(大器晩成)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말로, 크게 될 사람은 오랜 공적을 쌓아 늦게 이루어짐을 뜻함. (크게 될 사람은 늦더라도 꼭 성공한다는 뜻) 4. 금석위개(金石爲開) 강한 의지로 정성을 다하면 어떤 일이든지 다 해낼 수 있음. 5. 백절불요(百折不撓) 수없이 많이 꺾여도 굴하지 않고 이겨 나감. 6. 백절불굴(百折不屈) 수없이 많이 꺾여도 굴하지 않고 이겨 나감. 7. 비자우기(備者遇期) 준비된 자는 좋은 기회를 만남. 8. 비자득기(備者得機) 준비된 자가 기.. 성어속담 2022. 8. 25. 호사다마 반대말 호사다마의 반대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호사다마 반대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호사다마(好事多魔)는 '좋은 일에는 흔히 시샘하는 듯이 안 좋은 일들이 많이 따른다'는 뜻입니다. 1. 일범풍순(一帆風順) 순풍에 돛을 올리듯 일이 순조롭게 진행됨. 2. 일사천리(一瀉千里) 어떤 일이 거침없이 단번에 진행됨. 3. 만사형통(萬事亨通) 모든 일이 뜻대로 잘 풀림. 4. 소원성취(所願成就) 바라던 바를 이루어 냄. 1. 새옹지마(塞翁之馬)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예측하기 어려움. 2. 새옹마(塞翁馬)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예측하기 어려움. 3. 호사다방(好事多妨) 좋은 일에는 흔히 시샘하는 듯이 안 좋은 일들이 많이 따름. 4. 시어다골(鰣魚多骨) 좋은 일의 한편에는 좋지 못한 면이 있음. .. 성어속담 2022. 8. 21. 흔들리지 않는 마음 사자성어 흔들리지 않은 마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흔들리지 않는 마음 사자성어에 대해 설펴보겠습니다. 1. 일편단심(一片丹心)변치 않는 참된 마음. 2. 호연지기(浩然之氣)도의에 근거를 두고 굽히지 않고 흔들리지 않는 바르고 큰 마음. 3. 각골명심(刻骨銘心) 어떤 일을 뼈에 새길 정도로 마음속 깊이 새겨 잊지 아니함. 4. 각골난망(刻骨難忘) 은혜를 마음속에 깊이 새겨 잊지 아니함. 5. 백골난망(白骨難忘) 죽어서 뼈만 남은 뒤에도 잊을 수 없음. 6. 누골명심(鏤骨銘心)어떤 일을 뼈에 새길 정도로 마음속 깊이 새겨 잊지 아니함. 7. 만고불변(萬古不變)아무리 오랜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음. 8. 영원불변(永遠不變)영원히 변하지 않음. 9. 영구불변(永久不變)영원히 변하지.. 성어속담 2022. 8. 6.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려는 마음 사자성어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려는 마음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려는 마음과 관련된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회개지심(悔改之心)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려는 마음. 2. 자기반성(自己反省) 자기의 언행에 대해 스스로 돌이켜 봄. 3. 회과자책(悔過自責) 잘못을 뉘우쳐 스스로 꾸짖음. 4. 내시반청(內視反聽) 남을 꾸짖기보다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함. 5. 인과자책(引過自責) 자기의 잘못을 뉘우치고 스스로를 꾸짖음. 6. 반구저기(反求諸己) 잘못을 자신에게서 찾음. 7. 자원자애(自怨自艾) 잘못을 뉘우쳐 다시는 그런 잘못이 없도록 함. 8. 자숙자계(自肅自戒)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심하고 경계함. 9. 자아성찰(自我省察)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을 반.. 성어속담 2022. 7. 14. 시작과 끝이 한결같다 사자성어 시작과 끝이 한결같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시작과 끝이 한결같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시종일관(始終一貫)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이. 2. 시종여일(始終如一)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음. 3. 수미일관(首尾一貫)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이 함. 4. 신종여시(愼終如始) 끝을 신중하게 하는 것을 마치 처음 같이 한다는 말로, 일의 종말에 이르러서도 처음과 같이 마음을 늦추지 않고 애쓴다는 뜻. 5. 일이관지(一以貫之) 하나의 이치로써 모든 것을 일관함이라는 말로 처음부터 끝까지 변하지 않거나 끝까지 밀고 나감을 뜻함. 6. 유종지미(有終之美) 한번 시작한 일을 끝까지 잘하여 끝맺음이 좋음. 7. 종시일관(終始一貫)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음. 8. 종시여일(.. 성어속담 2022. 6. 30. 세 사람이면 없던 호랑이도 만듦 삼인성호 세 사람이면 없던 호랑이도 만든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세 사람이면 없던 호랑이도 만듦'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삼인성호(三人成虎)입니다. 삼인성호(三人成虎)는 세 사람이 짜면 거리에 범이 나왔다는 거짓말도 사실처럼 될 수 있다는 말로, 근거 없는 말도 여럿이 하면 곧이듣게 됨을 뜻하는 말입니다. 삼인성호의 원어는 '삼인성시호(三人成市虎)입니다. ※ 삼인성시호(三人成市虎) 세 사람이 짜면 거리에 범이 나왔다는 거짓말도 사실처럼 될 수 있다는 말로, 근거 없는 말도 여럿이 하면 곧이듣게 됨을 뜻함. 전국시대 위나라 혜왕 때 힘이 약했던 위나라는 태자와 중신 방총을 조나라에 볼모로 보내야 했다. 하지만 방총은 자신이 자리를 비운 사이에 자기를 모함하는 무리가 생길까 걱.. 성어속담 2022. 6. 7. 나 먹기는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 뜻 속담 중에 '나 먹긴은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라는 말이 있는데요, 나 먹기는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는 어떤 뜻일까요? 나 먹기는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 나 먹기는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예) 나 먹기는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더니, 내 몸에 맞지 않는 옷인데도 다른 사람에게 주기는 싫더라. (예) 나 먹기는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더니, 내 피부에 맞지 않는 화장품인데도 남에게 주기는 싫더라. 1. 나그네 먹던 김칫국도 먹자니 더럽고 남 주자니 아깝다. 자신은 그다지 갖고 싶지도 않은 물건이.. 성어속담 2022. 6. 5. 이전 1 ··· 5 6 7 8 9 10 11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