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중생 뜻 '범부중생'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범부중생은 어떤 뜻일까요? 범부중생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는 평범한 사람들이라는 뜻이며, 불교에서는 지혜가 얕고 우둔해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① 범부(凡夫) 평범한 사람, 불교에서는 번뇌에 얽매여 생사를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 ② 중생(衆生) 많은 사람. 불교에서는 모든 살아 있는 무리. ③ 범부중생(凡夫衆生) 평범한 사람들. 불교에서는 지혜가 얕고 우둔해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 사람들. (예) 저는 범부중생에 불과합니다.(예) 그 역시 범부중생에 불과하다.(예) 범부중생인 제가 뭘 알겠습니까?(예) 불교에서는 어리석은 사람들을 범부중생이라고 한다. ① 갑남을녀(甲男乙女)갑이란 남자와 을이란 여자라는 말로, 평범한 사람들을.. 성어속담 2023. 8. 5. 금란지교 교칠지교 수어지교 지란지교 뜻 '금란지교 교칠지교 수어지교 지란지교'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금란지교 교칠지교 수어지교 지란지교는 어떤 뜻일까요? 그 뜻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금란지교(金蘭之交) 쇠처럼 단단하고 난초처럼 향기가 나는 깊은 사이라는 뜻. 2. 교칠지교(膠漆之交) 너무나 친해서 도저히 떨어질 수 없는 사이라는 뜻. 3. 수어지교(水魚之交) 물과 물고기의 관계처럼 서로 뗄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친한 사이라는 뜻. 4. 지란지교(芝蘭之交)영지와 난초의 향기와 같이 서로 향기로운 사이라는 뜻. 1. 관포지교(管鮑之交)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처럼 친구를 위해 베푸는 두터운 우정이라는 뜻. 2. 금석지교(金石之交) 쇠와 돌이 약하지 않고 단단한 것처럼 서로 믿음이 단단한 사이라는 뜻. 3. 단금지교(斷金之交)쇠붙이를.. 성어속담 2023. 8. 3. 와신상담 비슷한 사자성어 '와신상담'과 의미가 비슷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와신상담과 의미가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와신상담(臥薪嘗膽) 섶에 누워 자고 쓴 쓸개를 맛본다는 말로, 원수를 갚거나 실패한 일을 다시 이루고자 굳은 결심을 하고 어려움을 참고 견딤을 뜻함. 1. 상담(嘗膽) 거북한 섶에 누워서 쓴 쓸개를 맛보며 패전의 굴욕을 되새긴다는 말로, 원수를 갚으려고 괴로움과 어려움을 참아 냄을 뜻함. 2. 절치액완(切齒扼腕) 이를 갈고, 팔을 걷어올리며 주먹을 꽉 진다는 말로, 매우 분하여 벼르는 모습. 3. 절치부심(切齒腐心) 이를 갈면서 속을 썩인다는 말로, 매우 분하여 한을 품음. 4. 권토중래(捲土重來) 어떤 일에 실패한 뒤에 힘을 길러 다시 그 일을 시작함. 5. 좌신현담(.. 성어속담 2023. 8. 1. 난형난제(難兄難弟) 뜻 난형난제 유래 '난형난제'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난형난제(難兄難弟)는 어떤 뜻일까요? 난형난제(難兄難弟)의 뜻, 난형난제 유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형이라고 하기도 어렵고 동생이라고 하기도 어렵다는 말로, 누가 더 낫다고 우열을 가리기가 어렵다는 뜻입니다. 즉, 서로 비슷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을 뜻하는 말입니다. ※ 난형난제(難兄難弟) 서로 비슷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가 어려움. 한문으로는 難兄難弟라고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難 : 어려울 난) (兄 : 맏 형) (難 : 어려울 난) (弟 : 아우 제)입니다. 한나라 말기 어지러운 나라를 한탄하며 선비들은 목숨을 걸고 폐단을 지적하다가 줄줄이 감옥에 갇히고 말았다. '진식'이라는 사람도 감옥에 갇힌 친구를 위해 스스로 감옥에 들어갔다. 진식에.. 성어속담 2023. 7. 30. 겸손 사자성어 겸손을 뜻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겸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가고가하(可高可下) 높아도 가(可)하고 낮아도 가(可)하다는 말로, 인자는 벼슬이 높아도 거만하지 않고 낮아도 두려워하지 않음으로써 직위의 고하를 가리지 않음. 2. 견마지로(犬馬之勞)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말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하는 말. 3. 견마지령(犬馬之齡) 자신의 나이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4. 겸양지덕(謙讓之德) 겸손한 태도로 남에게 양보하거나 사양하는 아름다운 마음씨나 행동. 5. 계림일지(桂林一枝) 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하다는 뜻. 6. 견마지심(犬馬之心) 개나 말이 주인에게 가진 충성된 마음이라는 말로,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을 다해 몸.. 성어속담 2023. 7. 7. 부모님이 물려주신 신체 사자성어 부모님이 물려주신 신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부모님이 물려주신 신체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부모님이 물려주신 신체'라는 사자성어는 없습니다. 그러나 한자성어는 있는데요, 바로 '신체발부 수지부모'입니다. ① 신체발부 수지부모(身體髮膚 受之父母) 사람의 신체와 터럭과 살갗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임. ② 불감훼상 효지시야(不敢毁傷 孝之始也) 감히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임. ③ 신체발부 수지부모(身體髮膚 受之父母) 불감훼상 효지시야(不敢毁傷 孝之始也)사람의 신체와 터럭과 살갗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니, 이것을 감히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다. '효경(孝經)'에 나오는 말이다. 사람의 신체와 터럭과 살갗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니 이를 소중히 여겨.. 성어속담 2023. 6. 23. 토사구팽의 유래 토사구팽 뜻 사자성어 토사구팽은 어떤 뜻일까요? 또 토사구팽은 어떻게 유래되었을까요? 토사구팽의 유래, 토사구팽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토사구팽(兎死狗烹)은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 없게 되어 주인이 삶아 먹는다는 말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버린다는 뜻. 즉, 실컷 부려 먹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버리고 만다는 뜻입니다. 한신은 대장군으로서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웠다. 황제가 된 유방은 한신을 제후에 앉혔지만 그가 군사를 일으켜 자신에게 대항하지 않을까 노심초사했다. 그때 과거 항우의 부하였던 종리매가 한신에게 몸을 숨겼다. 유방은 종리매가 초나라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 당장 그를 잡아들이라고 명했다. 하지만 한신은 오랜 친구이자 부하인 종리매를 .. 성어속담 2023. 6. 21. 이전 1 2 3 4 5 6 7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