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과 행동 일치 사자성어 그리고 말과 행동이 다르다 사자성어 참고하세요 말과 행동이 일치한다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단어들이 있을까요? 또 말과 행동이 다르다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단어들이 있을까요? 말과 행동 일치 사자성어와 말과 행동이 다르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① 솔선수범(率先垂範)남보다 앞장서서 행동해 몸소 다른 사람의 본보기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② 언행일치(言行一致)말과 행동이 일치한다는 의미입니다. ③ 지행일치(知行一致)지식과 행실이 꼭 들어맞는다는 의미입니다. ④ 지행합일(知行合一)지식과 실천이 온전히 부합한다는 의미입니다.① 구시심비(口是心非)입으로는 옳다고 하지만 속으로는 그르게 여김을 이르는 말입니다. ② 모순당착(矛盾撞着)사람의 말과 행동이 일관성이 없고 이치에 어긋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③ 언행불부(言行不符)말과 행동.. 성어속담 2025. 4. 15. 미봉책 뜻 미봉책의 유래 참고하세요 '미봉책'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텐데요, 미봉책은 어떤 뜻일까요? 미봉책 뜻, 미봉책의 유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① 미봉책의 원래 뜻꿰매어 깁는 계책(計策)이라는 말로, 모자라는 부분을 빈틈없이 보완하는 전투방식을 뜻함. ② 미봉책의 바뀐 뜻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눈가림만 하는 일시적인 계책(計策)을 뜻함. 따라서 오늘날에 미봉책(彌縫策)은 터진 옷을 임시로 꿰매 입는 것처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눈가림만 하는 임시적이거나 일시적인 계책 또는 대책을 뜻하는 말로 사용합니다. 즉, 어떤 일에 대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임시로 급한 상황만 처리한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봉책과 비슷한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로 '인순고식(因循姑息)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낡.. 성어속담 2024. 11. 6. 많이 쓰는 사자성어 참고하세요 우리가 일상에서 많이 쓰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많이 쓰는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거두절미(去頭截尾)말이나 사건 등의 부차적인 설명은 빼버리고 사실의 요점만 말한다는 뜻. 2. 개과천선(改過遷善)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서 착하게 된다는 뜻. 3. 견물생심(見物生心)어떤 물건을 실제로 보면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는 뜻. 4. 과유불급(過猶不及)정도가 지나침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뜻. 5. 금의환향(錦衣還鄕)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로, 벼슬을 하거나 크게 성공하여 고향에 돌아옴을 뜻함. 6. 기상천외(奇想天外)생각이나 착상이 보통 사람은 쉽게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엉뚱하고 기발하다는 뜻. 7. 골육상쟁(骨肉相爭)가까운 혈족끼리 서로 경쟁하고 다툰다는 .. 성어속담 2024. 9. 9.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 말 한마디에 천냥빚 갚는다 뜻 우리는 말을 잘못해서 스스로 위기를 자초하거나 자신의 인격을 깎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말을 할 때는 정말로 신중해야 합니다. 그만큼 말 한마디가 정말로 중요하다는 것인데요, 그래서 우리나라 속담에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는 어떤 뜻일까요? 말 한마디에 천냥빚 갚는다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말솜씨가 좋으면 천 냥이나 되는 큰 빚도 갚을 수 있을 만큼 세상살이에서는 말이 매우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우리는 상대를 배려하는 좋은 말로 상대방의 마음을 얻을 수도 있고, 상대를 무시하는 말로 상대방과 사이가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또 신중하지 않은 말을 내뱉어 남들에게 비난을 받을 수도 있고, 사람들에게 감명을 주는 말로 존경받을 수도 있습니다.. 성어속담 2024. 7. 30. 죽쒀서 개준다 뜻 죽쒀서 개준다 사자성어 '죽쒀서 개준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죽쒀서 개준다'는 어떤 의미일까요? 또 죽쒀서 개준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죽쒀서 개준다 뜻, 죽쒀서 개준다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노력의 댓가를 얻지 못하고 그 결과가 엉뚱한 사람에게 돌아갔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헛수고나 헛고생을 했을 경우 주로 쓰는 속담입니다. (예) 죽쒀서 개 준 꼴이구나!(예) 죽쒀서 개 준다더니 엉뚱한 사람이 이득을 보았네. ① 노이무공勞而無功)애를 썼는데 아무런 보람이 없다는 뜻. ② 도로무공(徒勞無功)한갓 헛되게 애만 쓰고 아무런 보람이 없다는 뜻. ③ 도로무익(徒勞無益)헛되게 애만 쓰고 아무런 이로움도 없다는 뜻. ④ 위연구어(爲淵驅魚)물고기를 잡으려다 연못 속에 몰아놓기만 했다는 말로, 기껏.. 성어속담 2024. 7. 17.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 사자성어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속담은 어떤 뜻을 지니고 있을까요?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던 둘 중에서 하나가 망하면 다른 하나도 망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속담은 '잘 살려면 혼자만 살려고 애쓰지 말고 서로 돕고 배려하면서 살아야 서로가 잘 살수 있다'는 교훈을 지니고 있습니다. (예)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더니, 협조자와 헤어지니 사업이 제대로 되지 않는구나. (예)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더니, 단짝이던 친구가 전학을 가니 학교 생활이 너무나 외롭구나. (예)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고, 배우자와 멀리 떨어져 지내니 너무나.. 성어속담 2024. 6. 29. 소문이 자자하다 뜻 나쁜 소문은 빨리 퍼진다 속담 뜻 '소문이 자자하다'는 말이 있는데요, '소문이 자자하다'는 어떤 뜻일까요? 또 '나쁜 소문은 빨리 퍼진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이 속담은 어떤 뜻일까요? '소문이 자자하다 뜻', '나쁜 소문은 빨리 퍼진다 속담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소문이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려 떠들썩하다는 뜻입니다. ① 소문(所聞)사람들 입에 오르내려 전하여 들리는 말. ② 자자(藉藉)하다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려 떠들썩하다. ③ 소문이 자자하다소문이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려 떠들썩하다. (예) 요즘 그에 대한 소문이 자자하다.(예) 동네에 이상한 소문이 자자하다.(예) 그는 구두쇠로 소문이 자자하다.(예) 그는 고집쟁이로 소문이 자자하다. 아무리 숨기려 해도 나쁜 일은 금방 세상에 널리 퍼진다는 뜻입니다. ※ 나쁜 소문.. 성어속담 2024. 5. 30. 이전 1 2 3 4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