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 칼로리 귤 한개 칼로리 상식 귤은 칼로리가 낮은 과일로 알려져 있는데요, 귤 칼로리는 얼마나 될까요? 귤 칼로리, 귤 한개 칼로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귤 한 개 칼로리는 약 19kcal입니다. 보통 크기의 귤 한 개의 무게는 약 50g 정도인데요, 껍질을 벗기면 42g~43g 정도가 됩니다. 껍질을 벗긴 귤 한 개의 칼로리가 약 19kcal입니다. 만약 귤이 작다면 한 개의 무게는 약 40g 정도이며 칼로리는 약 18kcal 정도가 됩니다. 귤은 다른 과일에 비해 칼로리가 상당히 낮은 편입니다. (귤 100g은 약 38칼로리임)① 배(100g) 39칼로리② 오렌지(100g) 40칼로리③ 사과(100g) 49칼로리④ 블루베리(100g) 50칼로리⑤ 키위(100g) 54칼로리 ⑥ 포도(100g) 60칼로리⑦ 체리(100g) 60칼.. 생활상식 2024. 6. 30.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 사자성어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속담은 어떤 뜻을 지니고 있을까요?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던 둘 중에서 하나가 망하면 다른 하나도 망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속담은 '잘 살려면 혼자만 살려고 애쓰지 말고 서로 돕고 배려하면서 살아야 서로가 잘 살수 있다'는 교훈을 지니고 있습니다. (예)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더니, 협조자와 헤어지니 사업이 제대로 되지 않는구나. (예)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더니, 단짝이던 친구가 전학을 가니 학교 생활이 너무나 외롭구나. (예)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고, 배우자와 멀리 떨어져 지내니 너무나.. 성어속담 2024. 6. 29. 귀걸이 꿈 해몽 귀걸이 사는 꿈 고르는 꿈 귀걸이 차는 꿈 귀걸이선물받는꿈 혹시 지난 밤 꿈에 귀걸이 꿈을 꾸신 적이 있습니까? 귀걸이 꿈은 어떤 의미로 해몽될까요? 귀걸이 꿈, 귀걸이 사는 꿈, 귀걸이 고르는 꿈, 귀걸이 차는 꿈, 귀걸이선물받는꿈을 비롯한 귀걸이 꿈해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귀걸이 사는 꿈처녀총각이라면 사랑이 이루어지고 기혼남녀라면 부부간에 금슬이 좋아지거나 집안에 경사스러운 일이 생길 징조입니다. 2. 귀걸이 차는 꿈미혼 여성이라면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을 징조며, 그 외의 사람들은 소망하던 일이 이루어지거나 본인의 신분이 좋은 쪽으로 변화될 징조입니다. 3. 귀걸이선물받는꿈사랑하는 사람으로부터 정성이 가득 담긴 선물을 받을 징조입니다. 만약 좋아하는 이성이 없는 사람이라면 마음에 쏙 드는 이성을 만나 깊은 사랑을 나눌 징조입니다.4. 귀걸이.. 물품관련꿈 2024. 6. 25.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 뜻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라는 말이 있는데요, '씻나락'이 발음하기 어려워서 그런지 우리는 주로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로 표현하곤 합니다. 그러나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그런데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는 어떤 뜻일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관용구로서, '이치에 닿지 않는 엉뚱하고 쓸데없는 말'이라는 뜻입니다. ① 귀신(鬼神)사람이 죽은 뒤에 남는다는 넋. ② 씻나락일부 속담이나 관용구에 쓰여 '볍씨'를 이르는 말. ③ 소리사람의 목소리. ④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관용구)이치에 닿지 않는 엉뚱하고 쓸데없는 말. / 조용하게 몇 사람이 수군거리는 소리를 비꼬는 말. / 분명하지 아니하게 우물우물 말하는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예)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는.. 지식상식 2024. 6. 23. 코빼기도 안보인다 뜻 '코빼기도 안보인다'는 말이 있는데요, '코빼기도 안보인다'는 어떤 뜻일까요? 코빼기도 안보인다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도무지 나타나지 않아 전혀 볼 수 없다'는 의미를 낮잡아 이르는 말입니다. ① 코빼기'코'를 속되게 이르는 말. ② 안 보이다보이지 않는다. ③ 코빼기도 안 보인다'도무지 나타나지 않아 전혀 볼 수 없다'는 의미를 낮잡아 이르는 말. (예) 그는 요 며칠 동안 코빼기도 안 보인다.(예) 코빼기도 안 보이더니 이제야 나타났다.(예) 그는 며칠 동안 전혀 코빼기도 안 보인다.(예) 계속 코빼기도 볼 수 없던 그가 나타났다.① 코빼기도 내밀지 않다. (관용구)도무지 모습을 나타내지 아니함을 낮잡아 이르는 말. ② 코빼기도 못 보다. (관용구)도무지 나타나지 않아 전혀 볼 수 없음을 .. 지식상식 2024. 6. 21. 업보의 뜻 업보청산 뜻 '업보'라는 말이 있는데요, 업보는 어떤 뜻일까요? 업보의 뜻, 업보청산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업보는 기본적으로 '선행과 악행에 따라 주어지는 운명'을 의미하지만, 주로 과거에 저지른 잘못으로 인해 현재에 받는 죗값(벌)이라는 의미로 더 많이 사용됩니다. 즉, 업보(業報)란 과거에 저지른 잘못에 대해 받는 죗값(벌) 또는 과거에 잘했거나 사람들에게 베풀었던 선행에 대한 성과나 보답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업보(業報)① 과거에 저지른 잘못에 대해 받는 죗값(벌).② 과거에 잘했거나 사람들에게 베풀었던 선행에 대한 성과나 보답.업보(業報)는 불교 용어로서 기본적인 의미가 '선행과 악행에 따라 주어지는 운명'이므로, '자신의 잘못에 대한 벌' 또는 '좋은 일을 많이 한 것에 대한 보답'으로 생각하시.. 지식상식 2024. 6. 19. 됨 됌 맞춤법 '담배를 피워도 됨'과 '담배를 피워도 됌'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헷갈리는 말인 '됨 됌'의 맞춤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됨'이 바른 표현입니다. 따라서 '담배를 피워도 됨'이 바른 표현인 것입니다. ① 됨 (O)(예) 여기서 담배를 피워도 됨. (O)(예) 여기에 낙서를 해도 됨. (O)(예) 여기에 주차를 해도 됨. (O)(예) 여기서 노래를 불러도 됨. (O) ② 됌 (X)(예) 여기서 담배를 피워도 됌. (X)(예) 여기서 소리를 질러도 됌. (X)(예) 여기에 낙서를 해도 됌. (X)(예) 여기에 주차를 해도 됌. (X)'됨'은 동사 '되다'의 어간 '되'에 명사형 어미 '-ㅁ'이 붙은 말로서 '됨'은 명사로 사용됩니다. '됌'은 동사 '되다'의 활용형 '.. 바른용어 2024. 6. 17. 큰차꿈 큰차 타는 꿈 큰차 운전하는 꿈 큰차를 사는 꿈해몽 혹시 꿈속에서 큰차꿈을 꾸신 적이 있습니까? 큰차꿈은 어떤 의미로 해몽될까요? 큰차꿈, 큰차 타는 꿈, 큰차 운전하는 꿈, 큰차를 사는 꿈해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큰차 타는 꿈대규모 조직이나 단체에 가입하거나, 새롭고 방대한 기술을 배울 징조입니다. 2. 큰차 운전하는 꿈규모가 제법 큰 새로운 사업체를 운영하거나, 추진 중인 일이나 사업이 크게 번창할 징조입니다. 3. 큰차를 사는 꿈해몽규모가 제법 큰 새로운 사업체를 조성하거나, 규모가 제법 큰 기존의 사업체를 인수할 징조입니다.4. 큰차에 짐을 싣는꿈발전 가능성이 높은 사업체에 자금을 투자할 징조입니다. 5. 큰차에서 짐을 하차한꿈제법 많은 자금을 조달받거나, 집안에 많은 재물이 생길 징조입니다. 6. 까만색 큰차를 본꿈공장이나 사무실 등의 .. 교통수단꿈 2024. 6. 15. 주워먹다 주어먹다 줏어먹다 주서먹다 맞춤법 '주워먹다, 주어먹다, 줏어먹다, 주서먹다'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주워먹다, 주어먹다, 줏어먹다, 주서먹다' 맞춤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주워 먹다'만 바른 표현이고 나머지는 모두 잘못된 표현입니다. - 주워 먹다 (O)- 주어 먹다 (X)- 줏어 먹다 (X)- 주서 먹다 (X) '사람이나 동물이 먹을 것을 떨어지거나 흩어진 곳에서 주워서 먹다. 또는 남이 만든 기회나 생각 따위를 가로채서 거저 갖다'는 의미를 지닌 말은 '주워 먹다'입니다. 따라서 '주어 먹다, 줏어 먹다, 주서 먹다'는 모두 잘못된 표현입니다.① 주워 먹다사람이나 동물이 먹을 것을 떨어지거나 흩어진 곳에서 주워서 먹다. 또는 남이 만든 기회나 생각 따위를 가로채서 거저 갖다. (예) 배가 고파 이.. 바른용어 2024. 6. 13. 새어나오다 세어나오다 맞춤법 맞춤법이 틀리기 쉬운 말 중에 '새어나오다'와 '세어나오다'가 있는데요, '새어나오다 세어나오다'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새어나오다 세어나오다 맞춤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새어나오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 새어나오다 (O)- 세어나오다 (X) '기체나 액체 등이 틈이나 구멍으로 조금씩 빠져 나오거나, 빛이 물체의 틈이나 구멍을 통해 나오거나, 소리가 바깥으로 빠져 나오다'는 의미를 지닌 말은 '새어나오다'입니다. 따라서 '힘이 많거나 기세 따위가 강하다'는 의미를 지닌 동사 '세다'의 활용형인 '세어'에 '나오다'가 연결된 '세어나오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기체나 액체 등이 틈이나 구멍으로 조금씩 빠져 나오거나, 빛이 물체의 틈이나 구멍을 통해 나오거나, 소리가 바깥.. 바른용어 2024. 6. 11. 입이 싸다 입이 가볍다 입이 무겁다 뜻 '입이 싸다' 또는 '입이 가볍다'는 말을 많이 하는데요, '입이 싸다, 입이 가볍다, 입이 무겁다'는 어떤 뜻일까요? 입이 싸다, 입이 가볍다, 입이 무겁다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누군가의 개인적인 이야기나 비밀스러운 이야기를 다른 사람들에게 잘 떠벌린다'는 뜻입니다. ① 입사람이 하는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② 싸다들은 말 따위를 진중하게 간직하지 아니하고 잘 떠벌리다. ③ 입이 싸다누군가의 개인적인 이야기나 비밀스러운 이야기를 다른 사람들에게 잘 떠벌린다. (예) 그는 생김새와는 달리 입이 너무 싸다.(예) 그녀는 입이 싸서 무슨 말을 하기가 두렵다.(예) 그는 입이 싸서 남의 이야기를 잘 떠벌린다.'사람이 진득하지 못해 남의 이야기나 비밀스러운 이야기를 다른 사람들에게 잘 옮긴다'는.. 지식상식 2024. 6. 9. 물을 붓다 물을 붇다 맞춤법 '물을 붓다'가 맞을까요? '물을 붇다'가 맞을까요? '물을 붓다 붇다 맞춤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물을 붓다 붇다' 중에서 '물을 붓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 물을 붓다 (O)- 물을 붇다 (X) '액체나 가루 따위를 다른 곳에 담다'는 의미를 지닌 동사는 '붓다'입니다. 따라서' 물을 붓다'가 바른 표현이고 '물을 붇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예) 욕조에 물을 붓다. (O)(예) 욕조에 물을 붇다. (X) (예) 커다란 솥에 물을 붓다. (O)(예) 커다란 솥에 물을 붇다. (X) ※ '붇다'는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거나,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삶은 국수가 붇다, 삶은 콩이 붇다)① 액체나 가루 따위를 다른 곳에 담다.(예) 가마솥에 물을 붓다.(예) 물탱크에 .. 바른용어 2024. 6. 7.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