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을 하면 벌을 받고 잘하면 상을 받는게 세상살이라고 생각합니다. 옛말에 뿌린 대로
거둔다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뿌린대로 거둔다는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로는 자업자득과
인과응보를 꼽을 수 있습니다. '뿌린대로 거둔다'는 악하게 살면 죄를 받고 선하게 살면
복을 받는다는 뜻입니다.
어떻게 보면 불교 용어 중 하나인 업보(業報)와도 그 의미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로
부터 선행을 하면 그에 대한 보답을 받고 악행을 저지르면 그에 대한 벌을 받는 것이
이치라고 여겼기에 자신의 선행과 악행에 따른 복과 벌을 불교에선 '업보'라고 말합니다.
<뿌린대로 거둔다 사자성어>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뿌린대로 거둔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로는 자업자득, 인과응보를
들 수 있는데요, 아래와 같이 그 뜻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업자득
'자기 자신이 저지른 일에 대한 결과는 결국 스스로가 되돌려 받게 됨'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사자성어 역시 불교 용어입니다. 우리는 잘못을 저지르면 결국 스스로가 책임을 지게
됩니다. 그 누구에게도 자신의 잘못을 전가시킬 수 없습니다.
그 예로 소득에 비해 과소비를 하면 결국 빚만 지게 되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나, 남들보다 공부를 게을리한 결과 원하는 대학에 진학하지 못하게 되는 것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결국 자업자득(自業自得)이란 말과 같이 뿌린대로 거두게 되는 것이지요.
2. 인과응보
'선행을 하면 선행의 결과를 얻게 되며, 악행을 저지르면 악행의 결과를 받게 됨'이라는
의미입니다. 즉, 선행을 하면 복을 받고 악행을 저지르면 죄(벌)를 받는다는 의미입니다.
이 사자성어 역시 불교 용어로서 뿌린대로 거둔다는 의미와 상통하는 말입니다. 남의
것을 훔친 도둑이 죄를 받는 것은 인과응보인 셈이므로, 결국 뿌린대로 거둔다는 말과
같은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종두득두(種豆得豆), 종과득과(種瓜得瓜)와 같은 사자성어도 뿌린대로 거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① 종두득두(種豆得豆) : 콩 심은데 콩이 난다
② 종과득과(種瓜得瓜) : 오이 심은데 오이가 난다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 사자성어 (0) | 2020.05.30 |
---|---|
비일비재 뜻 간략 설명 (0) | 2019.09.08 |
결자해지 뜻 (0) | 2018.09.28 |
고사성어 사자성어 차이 (0) | 2017.12.10 |
발본색원 뜻 및 유래 (0) | 2017.10.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