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이후 남성들이라면 통풍으로 고통을 겪으면서 통풍 치료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통풍 치료제는 어떤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을까요? 통풍 치료제 부작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통풍은 요산나트륨 결정이 관절 주위와 연부 조직에 침착되면서 관절에 극심한 염증을
보이는 질환이므로, 관절의 질환이 아니라 전신성 대사이상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통풍 치료제는 치료약이냐 예방약이냐에 따라 부작용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는데요,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급성통풍치료약(콜키신)>
흔히 두통, 어지럼증이 생길 수 있고, 아나필락시스 반응으로 인해 호흡곤란 ,두드러기,
발진, 가려움증, 관절통, 근육통, 발열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 약 복용 후 1~2일 후에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 구토, 현기증 등과 같은 지연성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는 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재생불량성
빈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성통풍 치료제는 첫번째 통증 신호가 나타날 때 즉시 복용해야 합니다. 복용 후에도
계속 통증이 있을 경우는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1~2시간 간격으로 1정을 추가로
복용하되, 하루 7정 이상 복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약은 식사 직후에 복용해야 하며, 통증이 사라지거나 부작용이 나타나면 약물 축적의
위험을 피할 수 있도록 약 복용을 중단하고 의사나 약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통풍예방약>
1. 알로푸리놀 약물
발진, 표피박리성 피부염, 두드러기, 가려움 등의 피부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는 원형탈모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통, 위염, 소화불량 등의 위장관계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위장관계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위장약을 병용해야 합니다.
2. 프로베네시드 약물
두통, 어지럼증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두통이 심하면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고 약물을 감량해야 합니다.
또 배뇨시 통증, 요로결석, 신결석, 신증후군 등의 비뇨기계·신장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통, 위염, 소화불량 등의 위장관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위장관계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위장약을 병용해야 합니다.
프로베네시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는 집중력이 요구되는 운전이나 기계조작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통풍예방약 역시 식사 직후에 복용해야 하며, 만약 부작용이 의심될 경우에는
의사나 약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끝.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술후 섬망증상 요약 설명 (0) | 2020.04.27 |
---|---|
미세먼지에 좋은 음식 뭘까 (0) | 2020.04.10 |
허리 휨 허리 휘어짐 원인 (0) | 2020.03.25 |
빈맥이란 빈맥 원인 및 증상 상식 (0) | 2020.03.21 |
복부비만 허리둘레 남자 여자 복부비만 기준 (0) | 2020.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