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가입자는 연금을 미리 받거나 늦추어 받을 수도 있는데요, 연금받는 시기가
도래하기 전에 미리 연금수급을 신청하여 조기에 받는 연금을 조기노령연금이라고
합니다. 그럼 국민연금 조기수령조건 및 나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조건>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면서 국민연금 수급개시가 5년 남은 사람으로서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에 조기연금(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연금조기수령을 신청하면 국민연금(노령연금) 수급개시연령
전일지라도 조기국민연금(조기노령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나이>
출생년도별로 국민연금(노령연금)을 조기에 수령할 수 있는 나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1952년생 이전
55세에 신청 가능 (원래 연금수급개시연령 60세)
② 1953~1956년생
56세에 신청 가능 (원래 연금수급개시연령 61세)
③ 1957~1960년생
57세에 신청 가능 (원래 연금수급개시연령 62세)
④ 1961~1964년생
58세에 신청 가능 (원래 연금수급개시연령 63세)
⑤ 1965~1968년생
59세에 신청 가능 (원래 연금수급개시연령 64세)
⑥ 1969년생 이후
60세에 신청 가능 (원래 연금수급개시연령 65세)
<조기국민연금(조기노령연금) 감액 지급>
조기국민연금(조기노령연금)을 수령하면 매월 받는 연금액이 줄어들게 되는데요,
5년 미리 신청하면 연금액의 70%를 받게 되며, 4년 미리 신청하면 76%를 받게
되며, 3년 미리 신청하면 82%를 받게 되며, 2년 미리 신청하면 88%를 받게 되며,
1년 미리 신청하면 94%를 받게 됩니다.
참고로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하여 지급받다가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할 경우는
60세 이전에는 조기국민연금(조기노령연금)이 지급정지되며, 60~65세까지는
재직자 국민연금(노령연금)을 지급받게 됩니다.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면
조기노령연금을 지급정지하는 이유는 조기국민연금(조기노령연금)은 소득이 없는
것을 전제로 일반적인 국민연금(노령연금)보다 일찍 지급하는 급여이기 때문입니다.
<글을 마치면서>
아무튼 조기연금은 급한 상황에서는 생계에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원래 받을 수
있는 연금액보다 최대 30%까지 감액되어 받게되므로 결국 손해를 볼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원래 연금수급개시연령에서 연금을 지급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요즘은 조기연금보다는 '연기연금제도'를 이용해 연금을 받는 시기를 수급개시
연령으로부터 최대 5년 동안 늦추어 매월 받는 연금액을 더 늘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제일 긴 다리 어느 다리일까 (0) | 2019.05.08 |
---|---|
채권추심 시간 불법채권추심에 대한 대응 방법 (0) | 2019.04.18 |
군인 공무원 급수 비교 (2) | 2019.04.10 |
공무원 부양가족수당 지급규정 알아봐요 (0) | 2019.04.08 |
가스렌지 점화불량 등으로 점화후 꺼짐 현상 해결 방법 (0) | 2019.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