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
  • 글쓰기
  • 로그인
  • 로그아웃

좋은정보가득마당

  • 홈
  • 유머세상
  • 단어풀이
  • 생활상식
  • 사람관련꿈
  • 행동관련꿈
  • 날씨관련꿈
  • 동물관련꿈
  • 음식관련꿈
  •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뜻 상세 설명 불교 경전 천수경에 가장 먼저 등장하는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는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진언인데요,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는 구체적으로 어떤 뜻일까요?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뜻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는 불교 경전인 천수경의 첫머리에 등장하는 정구업진언(입으로 지은 업을 정화하는 주문)으로 고대 인도 범어(梵語)에서 유래했습니다. 산스크리트어로 이루어진 진언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를 우리말로 해석하면 "깨끗하구나 깨끗하구나, 아주 깨끗하구나, 묘하게 깨끗하구나, 원만히 성취되리라"라는 의미가 됩니다. ① 수리(sri)좋다, 깨끗하다, 기쁘다, 길상존(부처님, 관세음보살, 문수보살, 보현보살) ② 마하(mah)크게, .. 지식상식 2025. 10. 13.
  • 주객이 전도되다 주객이 전도 뜻 상세 설명 우리는 종종 '주객이 전도되다'라는 표현을 접하게 되는데요, '주객이 전도'라는 표현은 구체적으로 어떤 뜻일까요? 주객이 전도 뜻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주객(主客)이 전도(顚倒)'는 "주인과 손님의 처지가 뒤바뀐다"는 뜻으로, "본래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주인)과 부차적인 것(손님)의 우선순위가 뒤바뀌는 현상"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주객이 전도'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주객전도(主客顚倒)'입니다. 사자성어 주객전도는 '주인과 손의 처지가 뒤바뀐다는 뜻으로, 사물의 경중, 선후, 완급 따위가 서로 뒤바뀜을 이르는 말로 사용됩니다.주객(主客)이 전도(顚倒)는 아래와 같이 네 개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主(주인 주)주인, 중심이 되는 것, 주체 등을 의미. ② 客(손 객.. 지식상식 2025. 10. 9.
  • 이방원 하여가와 정몽주 단심가 원문 해석 고려 말 조선 초 왕조 교체기의 혼란 속에서 탄생한 두 편의 시조가 이방원의 하여가와 정몽주의 단심가인데요, 이방원 하여가와 정몽주 단심가 원문은 어떻게 해석될까요? 이방원 하여가와정몽주단심가 원문에 대한 해석을 알아보겠습니다.이방원의 하여가는 고려 말 정치적 혼란기에 지어진 중요한 시조예요. 원문은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져 백 년까지 누리리라"라고 되어있어요. 각 구절은 깊은 정치적 의미를 담고 있어요.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는 어떤 상황이 와도 개의치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현했고,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는 자연의 이치를 빗대어 정치적 동맹의 필요성을 암시했어요. 마지막 구절은 정몽주에게 함께 새 왕조를 세우.. 지식상식 2025. 10. 7.
  • 인생사 새옹지마의 뜻 상세 설명 '인생사 새옹지마'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텐데요, '인생사 새옹지마'라는 말은 구체적으로 어떤 뜻일까요? 인생사 새옹지마의 뜻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인생사(人生史) 새옹지마(塞翁之馬)'는 "사람이 살아가면서 겪는 길흉화복(吉凶禍福)은 변화가 너무 많아 예측할 수가 없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길흉화복(吉凶禍福)'은 "좋은 일과 나쁜 일 그리고 행복한 일과 불행한 일을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따라서 '인생사 새옹지마'는 오늘의 불행이 내일의 행운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지금의 행운이 나중에 불행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면서 우리가 살면서 겪는 길흉화복에 대해 너무 슬퍼하거나 두려워하지 말고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① 인생사(人生萬事)사람이 살아가면서 겪는 일. ②.. 성어속담 2025. 10. 5.
  • 다정가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 해설 참고하세요 고려 후기 시인 이조년의 대표작 '다정가'는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로 시작되는데요, 다정가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는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요?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 해설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다정가(多情歌)'는 초기 시조의 완성된 형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원문은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다정가 원문 내용과 해설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다정가 원문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제 /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야 알랴마는 / 다정(多情)도 병(病)인양 하여 잠못들어 하노라. ② 다정가 원문 해설배꽃에 달이 환하게 비치고 은하수가 자정을 알리고 있는 때에 / 한 가지에 어린 봄날의 정서를 두.. 지식상식 2025. 10. 3.
  • 수고 하셨습니다 윗사람 에게 사용해도 될까요 '수고하셨습니다'라는 표현을 윗사람에게 사용해도 될지를 고민하신 적이 있을 겁니다. '수고하셨습니다'라는 말을 윗사람에게 사용해도 될까요? 수고 하셨습니다 윗사람에게 사용해도 되는지 여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직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수고하셨습니다'라는 인사말이 세대 간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MZ세대는 이 표현을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반면, 기성세대는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고 하셨습니다'가 문제가 되는 핵심 이유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평가하는 듯한 뉘앙스'가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권위주의적 조직 문화에서는 이러한 표현이 불경하게 여겨질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상사에게 '수고하셨습니다'라고 말해도 될까요?"라는 질문으로 자주 등장하곤 하는데.. 지식상식 2025. 9. 30.
  • 거버먼트 뜻 상세 설명 '거버먼트(Government)'라는 말을 들어보셨을텐데요, '거버먼트'는 구체적으로 어떤 뜻일까요? 거버먼트 뜻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거버먼트(Government)'라는 단어는 라틴어 '구베르노(guberno)'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말은 원래 '배의 키를 잡다' 또는 '배를 이끌고 가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거버먼트(Government)'라는 말은 시간이 흐르면서 국가나 사회를 이끌어 간다는 '통치'의 개념으로 발전했으며, 오늘날에는 "공식적인 정부 기관이 강제력을 동원해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치 방식"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됩니다.거버먼트의 뜻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거버넌스(Governance)와의 차이점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용어는 혼용.. 지식상식 2025. 9. 28.
  • 꿔다놓은 보릿자루 뜻 상세 설명 우리 속담에 '꿔다놓은 보릿자루'라는 표현이 있는데요, '꿔다놓은 보릿자루'는 구체적으로 어떤 뜻일까요? 꿔다놓은 보릿자루 뜻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꿔다놓은 보릿자루'는 "여럿이 모인 자리에서 혼자 말없이 앉아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속담입니다. 정확하게는 '꾸어다 놓은 보릿자루'가 올바른 표현이지만, 일상에서는 줄여서 '꿔다놓은 보릿자루'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겉도는 사람을 묘사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또한 자신의 위치에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말이기도 합니다.꿔다놓은 보릿자루라는 속담의 유래는 조선시대 중종반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연산군의 폭정을 막기 위해 박원종을 중심으로 한 신하들이 비밀리에 모의를 했던 .. 성어속담 2025. 9. 24.
  •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사자성어 참고하세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라는 말을 들어보셨을텐데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뭘까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사자성어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속담은 "옳고 그름과 관계없이 자기 비위에 맞으면 좋아하고 그렇지 않으면 싫어한다"는 의미로 사용되는데요, 이 속담을 한자로 표현한 사자성어는 '감탄고토(甘呑苦吐)'입니다. 감탄고토(甘呑苦吐)는 "옳고 그름과 관계없이 자기 비위에 맞으면 좋아하고 그렇지 않으면 싫어한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로 인간의 이기적인 본성을 날카롭게 지적합니다.첫 번째 글자인 '甘(감)'은 '달다'라는 의미로, 맛이 좋은 것뿐만 아니라 마음에 들거나 유쾌한 것을 상징합니다. 두 번째 글자 '呑(탄)'은 '삼키다'라는 .. 성어속담 2025. 9. 22.
  • 아제아제 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 뜻 정확하게 설명 '아제아제 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는 반야심경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구절인데요, '아제아제 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는 구체적으로 어떤 뜻일까요? 아제아제 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 뜻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아제아제 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번역되고 해석됩니다. 전통적으로 해석하면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모두 함께 피안으로 가자, 깨달음이여 성취되소서"라는 의미가 됩니다. 이는 깨달음을 향한 여정의 단계적 발전을 강조합니다. 현대적으로 해석하면 "가세, 가세, 저 깨달음의 세계로 가세, 모두 함께 완전한 깨달음의 세계로 나아가세, 깨달음이여 이루어지이다"와 같은 의미가 됩니다. 이는 좀 더 현대적인 언어로 진언의 의미를 전달하려는 시도입니다. 학술적 번역과 종교적.. 지식상식 2025. 9. 17.
  • 1척 길이 상세 설명 '척(尺')은 전통 길이 단위로 쓰이는 말인데요, 1척의 길이는 어떻게 될까요? 1척 길이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현재 표준으로 인정되는 1척의 길이는 30.303cm입니다. 그러나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30cm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척은 우리 전통 길이 단위로, 1자(尺)라고도 불립니다. 이 두 단위는 사실상 동일한 길이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옛날부터 사람의 신체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측정 단위입니다. 성인 남성의 손가락 한 마디 길이를 1촌(寸)으로 하고, 10촌을 모아 1척이라 정했습니다. 오늘날에도 1척 길이는 전통 건축, 한옥 설계, 전통 가구 제작, 그리고 낚시에서 '월척'이라는 표현으로 남아있습니다. 1척의 하위 단위로는 1촌(寸) 또는 1치(寸)가 있는데, 이는 1척의 1/10.. 지식상식 2025. 9. 14.
  • kijul 뜻 쉽게 설명 인터넷과 SNS를 사용하다 보면 'kijul'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kijul'은 구체적으로 어떤 뜻일까요? kijul 뜻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kijul'은 한국어 '기절'을 영어로 표기한 인터넷 신조어로서, 말 그대로 '기절'을 뜻하는 말인데요, 사용 맥락과 강도에서 한국어 '기절'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기절'이 일상적인 표현이라면, 'kijul'은 더 강렬하고 과장된 감정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특히 소셜미디어에서는 2024년 말부터 사용 빈도가 급증하여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신조어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kijul'의 핵심적 개념은 "너무 재미있거나 놀라워서 기절할 것 같다"는 감정 상태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주로 긍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며, 무언가.. 지식상식 2025. 9. 11.
이전 1 2 3 4 ··· 149 다음
TOP

방문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좋은정보가득마당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