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임산부 엽산 권장량 상식

꼴두바우 2020. 5. 12.

엽산은 세포분열과 성장에 관여하는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비타민9라고 불리며 여러 식품에

포함되어 있는데요, 임산부 엽산 권장량은 어떻게 될까요? 임산부 엽산 권장량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임산부 엽산 권장량>

1. 하루 엽산제 0.4mg 복용 대상자

기형아를 출산하지 않았거나 가족 중에 기형아를 출산한 적이 없는 모든 예비 임산부 및

임산부

 

2. 하루 엽산제 1mg 복용 대상자

비만 지수 30 이상의 비만 예비 임산부 및 임산부

 

* 비만지수 : 몸무게(㎏) ÷ 키(m)의 제곱미터

 

 

3. 하루 엽산제 4mg 복용 대상자

무뇌아, 심장기형아, 척추이분증 같은 기형아를 낳았던 여성, 간질 등의 경련성 질환으로

항경련성 약물을 복용하는 여성, 당뇨병이 있는 여성, 항암제를 복용하는 여성

 

 

<엽산제 복용시 주의사항>

피부가 가렵거나, 붉은 반점이 생기거나, 호흡곤란이 생기는 등 알레르기 증상이 생길 경우

즉시 복용을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또 피임약이나 항생제와 함께

복용할 경우 엽산 효과가 줄어들게 되므로 함께 복용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보건소에 등록된 임산부는 임신일로부터 3개월까지 엽산제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단,

보건소마다 지원내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에 관할 보건소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엽산이 많이 함유된 식품으로는 시금치, 깻잎, 쑥갓 등의 녹색 이파리 채소와 오렌지,

바나나, 토마토, 딸기, 우유, 콩 등을 들 수 있으나, 음식 섭취로만으로는 충분히 섭취하기

어려우므로, 보건소에서 엽산제를 지원받는 것이 좋습니다.

 

 

<임산부가 엽산을 복용해야 하는 이유>

임신 중 엽산이 부족하면 태아가 신경관 결손으로 인해 무뇌아(뇌가 없는 아기)가 되거나

또는 척추변형, 대소변 조절기능 상실, 정신지체, 학습장애, 성기능장애 등의 질환을 앓게

되는 개방성 이분척추(척추갈림증)에 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뇌아의 경우 출산하면

사망하게 됨)

 

특히 이분척추(척추갈림증)는 임신하면서부터 바로 발생하므로 임신을 희망하는 여성은

임신 전 3개월부터 임신 4개월경까지 일일 권장량의 엽산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