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은 자신의 세계에 갖혀 지낸다고 하여 자폐(自閉)라고 불리는 발달장애로써, 소아
1,000명당 1명 꼴로 나타나며 보통 36개월 전에 증상이 나타나는데, 영유아 아동 자폐증
증상은 어떻게 나타날까요? 영유아 아동 자폐증 증상 및 원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영유아 자폐증 증상>
- 다른 사람과 눈을 마주치지 않으려 하고 신체적 접촉을 싫어한다.
- 사람보다도 장난감 등에 관심이 많으며, 말을 걸어도 반응이 없고 마치 다른 사람들이
옆에 없는 것처럼 행동한다.
- 부모에 대한 관심과 애착이 없고 이별에 대해 불안해 하지 않으며 낯가림도 없다.
- 옹알이를 하지 않고 말을 할 때가 지났는데도 말을 못하며 괴상한 소리를 낸다.
<아동자폐증 증상>
- 학교에 다녀도 친구가 없고 대인관계가 어렵다.
- 말 그대로 자기만의 세상에서 사는 것처럼 보이며, 아주 극단적인 기쁨이나 분노,
고통 등을 제외하고는 얼굴에 감정 표현이 전혀 없다.
- 남이 한 말을 따라하는 등 반항적 언어를 보이며, 너무 크거나 너무 조용하게
이야기 한다.
- 외국에서 살지도 않았는데 외국어 억양을 쓰기도 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거나
대명사를 전도하는 등 다양한 오류를 보인다.
- 물건을 의미없이 회전시키거나, 발가락 끝으로 걷거나, 이유없이 몸을 흔들거나,
전기스위치를 켰다 끄기를 반복한다.
- 주위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똑같은 것을 고집하며, 한가지 질문을 반복적으로
하며, 매우 산만하다.
- 머리를 일부러 부딪치거나 자신의 피부에 손상을 주거나, 머리카락을 뽑는 등
자해행동을 한다.
- 숫자나 순서에 병적으로 집착하거나, 장난감이나 사물에도 병적으로 집착한다.
- 남들이 도저히 이해하지 못할 이상한 행동을 상동적으로 한다.
- 성인이 되어도 대인관계가 어려우며 이성에 별 관심이 없다.
<자폐증 원인>
임신과 분만에 관한 합병증, 경련성질환, 대사장애, 감염, 출생 전후의 뇌손상및 내염,
선천성 헤르페스 뇌염 및 풍진 감염, 뇌구조 이상, 유전적 요인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자폐증인 경우 70~80%가 정신지체를 동반하며, 그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그러나
조기발견으로 조기치료를 받는다면 성인이 된 후에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어느 정도는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자폐증 치료>
언어치료, 놀이치료, 음악치료, 미술치료, 감각통합치료, 특수교육, 약물치료 등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끝.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a 부족증상 설명 (0) | 2020.02.06 |
---|---|
웃음 효과 상식 (0) | 2020.01.30 |
치과 신경치료 후 음주 괜찮을까 (0) | 2020.01.18 |
우울증에 좋은 음식 7가지 상식 (0) | 2020.01.01 |
하루 적정 수면시간 그리고 수면장애 치료 상식 (0) | 2019.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