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하루 적정 수면시간을 채우지 못하고 수면장애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연령별 하루 적정 수면시간은 어떻게 될까요? 적정 수면시간 그리고 수면장애
치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적정 수면시간>
미국의 수면재단(NSF : National Sleep Foundation)에서 제시하는 연령별 하루 적정
수면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신생아 (0-3개월) ⇒ 14~17시간
② 유아 (4~11개월) ⇒ 12~15시간
③ 유아 (1~2세) ⇒ 11~14시간
④ 미취학 아동 (3~5세) ⇒ 10~13시간
⑤ 취학 아동 (6~13세) ⇒ 9~11시간
⑥ 청소년 (14~17세) ⇒ 8~10시간
⑦ 어른 (18~64세) ⇒ 7~9 시간
⑧ 고령자 (65세 이상) ⇒ 7~8시간
어른이 되어서도 하루에 최소 7시간 이상을 자야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는데요,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는 경우는 대부분 수면장애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수면장애에는
어떤 유형이 있으며, 어떻게 치료해야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수면장애 유형>
1. 불면증
잠들기 힘들거나 잠은 들지만 자주 깨는 경우, 새벽에 너무 일찍 잠에서 깨어 힘이 든
경우를 말합니다.
2. 기면증
야간에 충분히 잠을 잤음에도 불구하고 낮에 심한 졸음을 호소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3. 하지불안증후군
잠들 무렵 다리(특히 종아리 부근)에 말로 표한하기 힘든 불편감이 있어 잠들기 힘들고
그 결과 수면부족을 초래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4. 코골이 / 수면무호흡증
코골이의 75%에서는 수면 중에 호흡을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을 보이게 되어 깊은 잠을
잘 수 없게 됩니다.
<수면장애 치료>
1. 불면증
1달 이내의 급성기 불면증이면 전문의의 처방을 받아 1~2주 정도 수면제를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며, 잘못된 수면습관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불면증을 겪게
되면 인지행동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2. 기면증
최근에는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며 효과적인 각성제가 개발되어 있으므로 낮 동안의
졸음 증상에 대해 각성제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3. 하지불안증후군
하지불안증후군은 뇌 속의 도파민 대사 이상으로 발병하기 때문에 도파민 효현제로
치료합니다. 도파민 효현제로 잘 조절되지 않은 경우는 가바펜틴계의 약물을 추가
하거나 대체하여 치료합니다.
4. 코골이 / 수면무호흡증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은 흔히 동반되기 때문에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은 함께
치료해야 합니다. 수면무호흡증 치료에는 코골이 치료가 포함되며, 양압술치료,
구강내장치치료, 수술적치료 등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수면장애 예방>
① 규칙적인 식사와 규칙적인 기상을 유지하고, 불규칙한 낮잠을 자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② 잠들기 전에 과식, 술, 담배, 커피, 티비 시청 등을 피해야 합니다.
③ 낮에 적절한 운동을 하고 자기 전에 따뜻한 물로 목욕하는 것이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④ 자기 전에 이완, 명상을 하고 지루한 책읽기, 시계 감추기 등도 잠을 잘 자는데
도움이 됩니다. 끝.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 신경치료 후 음주 괜찮을까 (0) | 2020.01.18 |
---|---|
우울증에 좋은 음식 7가지 상식 (0) | 2020.01.01 |
식후 커피 마시는 적당한 시간 알아봐요 (0) | 2019.12.18 |
콩팥 결석 증상 요약 설명 (0) | 2019.12.16 |
담낭암 생존율 상식 (0) | 2019.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