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4대 사화 (조선시대 사대사화)> 조선 4대 사화란 사림파와 훈구파의
대립으로 사림파가 큰 피해를 입은 4가지 사건인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이며,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정치적 사건입니다.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으로 일어난 조선 4대 사화로 인해 사림파가 피해를
크게 입었으며, 4대 사화 중 무오사화가 가장 먼저 일어났습니다.
<무오사화 등 조선 4대 사화가 일어나게 된 배경>
세조 이후 공신들을 중심으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고 중앙집권체제를 강조한
훈구파에 맞서 성리학에 투철한 사족들이 영남과 호서지방을 중심으로 지방에
서 세력기반을 쌓으면서 왕도정치를 강조한 사림세력으로 성장하여 훈구파를
비판하면서 대립과 갈등이 시작되었습니다.
결국 양대 세력의 갈등이 4차례의 사화로 이어지게 되었으며 그 결과 사림파는
크게 피해를 입게 되었습니다. '사화'란 '사림의 화'를 줄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조선시대 사대사화 발생 원인>
1. 무오사화
1498년 연산군 재위시 연산군의 실정,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판한 김종직의
'조의제문'으로 일어났습니다.
김종식의 조의제문이란 김종직이 조선 성종 때 세조의 왕위찬탈을 풍자하여
지은 글로 단종을 죽인 세조를 의제를 죽인 항우에 비유해 세조를 은근히 비난
하는 내용입니다.
2. 갑자사화
1504년 연산군 재위시 연산군 모친인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를 둘러싸고 일어
나게 되었습니다.
3. 기묘사화
1519년 중종 재위시 조광조의 급진적 개혁정치에 대한 훈구파의 반발로 일어
나게 되었습니다.
4. 을사사화
1545년 명종 재위시 왕위 계승문제를 둘러싼 외척의 갈등에서 비롯되어 일어
난 사화입니다.
아무튼 조선시대 4대사화는 정치적 갈등이 엄청난 비극을 불러온다는 교훈을
현대인들에게 주고 있다 하겠습니다.
'지식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산 가압류란 (0) | 2016.10.30 |
---|---|
사춘기 전조증상 및 특징 (0) | 2016.10.10 |
감정노동자란 (0) | 2016.10.06 |
똠방 각하 뜻 똠방 뜻 (2) | 2016.09.30 |
폴리페서 뜻 (0) | 2016.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