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관(事務官)은 우리나라 공무원 직급 중 하나인데요, 공무원 사무관은 몇급일까요? 공무원 사무관 직급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공무원 사무관 직급>
공무원 사무관은 고위직 공무원과 하위직 공무원을 연결해주는 중요한 위치에 있는데요, 우리나라 사무관 직급은 5급이며 직명이 사무관입니다. 사무관은 국가기관이나 광역자치단체에서는 팀장(계장)급에 해당되며, 기초자치단체에서는 과장급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국가기관이나 광역자치단체에 근무하면 팀장(계장)으로 불리며, 기초자치단체에 근무하면 과장으로 불립니다. 팀장(계장) 직위를 부여받지 못한 사무관은 본래의 직명인 사무관을 대외 직명으로 사용합니다. 국가기관에 근무하는 사무관의 공식 직명은 '사무관'이며, 광역자치단체나 기초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사무관의 공식 직명은 '지방사무관'입니다.
국가기관에 근무하는 고참 사무관은 팀장(계장) 보직(직위)을 부여받을 수 있지만, 후임 사무관의 경우는 팀장(계장) 보직(직위)을 부여받지 못하고 평직원으로 근무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광역자치단체나 기초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사무관은 대부분 팀장(계장)이나 과장 보직(직위)을 부여받습니다.
① 국가기관 근무 사무관
고참인 경우는 팀장(계장) 직위를 부여받음. (후임인 경우는 평직원으로 근무할 수도 있음)
② 광역자치단체 근무 사무관
대부분이 팀장(계장) 직위를 부여받음.
③ 기초자치단체 근무 사무관
대부분이 과장 직위를 부여받음. (읍·면이나 동사무소에 근무하는 사무관은 읍장, 면장, 동장 직위를 부여받음)
위의 설명에서 보시듯이 국가기관이나 광역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사무관은 말단 공무원에 가깝지만, 기초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사무관은 높은 직위로 근무할 수 있습니다.
<사무관 되는법>
사무관이 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요, 첫번째는 5급 공채시험(행정고시)에 합격하여 사무관으로 임용받는 것이고, 두번째는 9급이나 7급 공채시험에 합격하여 공무원으로 임용된 후 근무 경력을 쌓아 승진하는 것입니다.
9급 지방직 공무원으로 임용되는 경우 사무관까지 진급하는데 평균 20년~ 25년 정도가 걸립니다. 7급 지방직 공무원으로 임용되어도 최소 15년~20년 정도가 걸리므로 지방직 공무원이 사무관이 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국가직 공무원은 이보다 좀 더 빠름)
하지만 공무원 5급 공채시험에 합격해 사무관으로 임용되면 바로 사무관으로 근무할 수 있으며, 10년 내에 4급 공무원은 물론이고 3급 공무원까지도 승진할 수 있습니다. 또 오랫동안 근무하면서 최선을 다한다면 임용직 공무원의 최고 직급인 1급 관리관까지 진급이 가능합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지식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통령 취임선서 국회의원 선서 공무원 선서 상식 (2) | 2024.12.24 |
---|---|
벼락맞을 확률 얼마나 될까 (3) | 2024.12.20 |
내란 뜻 내란 수괴죄 뜻 참고하세요 (1) | 2024.12.08 |
세계에서 가장 긴 강 어느 강일까 (1) | 2024.12.06 |
어필하다 어필의 뜻 참고하세요 (3) | 2024.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