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힘이 들 때 '정말 되다' 또는 '너무 되구나' 등과 같이 표현하는데요, '되다'는 '힘들다'의 사투리일까요? 되다 사투리 맞는지 여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되다 사투리 맞을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되다'는 사투리가 아니라 표준어입니다. '되다'는 '일이 힘에 벅차다'는 의미를 지닌 형용사이므로 사투리가 아닙니다.
'되다'는 '힘들다'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 '힘들다'의 유사어입니다.
① 되다
일이 힘에 벅차다.
(예) 일이 되어 하루 쉬려고 한다.
(예) 일이 되어 입술이 부르텄다.
(예) 하루 종일 밭일을 했더니 몹시 되다.
② 힘들다
힘이 쓰이는 면이 있다.
(예) 오래 걸었더니 몸이 힘들다.
(예) 하루종일 쉬지 않고 일하니 힘들다.
(예) 계속 야근을 하니 몸이 너무 힘들다.
<되다를 사투리로 생각하는 이유>
'힘들다'의 사투리는 '대다'인데요, 아마도 '되다'와 혼동해서 그럴 것입니다.
① 대다
힘들다의 사투리 (경상)
② 디다
힘들다의 사투리 (경북 영일지방)
<참고사항>
① '대다'는 '힘들다'의 사투리이자 '정해진 시간에 닿거나 맞추거나, 차나 배 따위의 탈것을 멈추어 서게 하다'는 의미를 지닌 동사입니다.
(예) 버스 시간에 대로록 서두르자.
(예) 그는 주차장에 차를 대고 있다.
② '디다'는 '불이나 뜨거운 기운으로 말미암아 살이 상하다'는 의미를 지닌 동사 '데다'의 '사투리'로도 쓰입니다.
(예) 난롯불에 손을 딨다 (뎄다)
(예) 라이타 불에 손을 딨다 (뎄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지식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심한 사과 뜻 심심한 사과 한자 (0) | 2024.06.05 |
---|---|
희나리 뜻 휘나리 뜻 희아리 뜻 (0) | 2024.05.26 |
극락왕생 뜻 극락왕생 하소서 뜻 (0) | 2024.05.20 |
육갑떤다 육갑떨다 뜻 (0) | 2024.05.10 |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의 차이 (0) | 2024.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