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자연 상태의 깨끗한 샘물을 먹기에 적합하도록 제조한 먹는 샘물을
생수라고 하는데, 더 크게 보면 생수에는 먹는염지하수와 먹는해양심층수도
포함됩니다. 그리고 생수라는 단어는 법적인 용어는 아니며, 통상적으로
우리가 편의상 사용하는 단어로서 먹는샘물, 먹는염지하수, 먹는해양심층수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생수 종류>
국내 생수 종류는 위에서도 설명드렸듯이 먹는샘물, 먹는염지하수, 먹는해양
심층수로 구분되며,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먹는샘물
암반대수층(岩盤帶水層) 안의 지하수 또는 용천수 등 수질의 안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자연 상태의 깨끗한 원수(原水)인 샘물을 먹기에 적합하도록
물리적으로 처리하여 제조한 물을 말합니다. 즉, 지하수 또는 용천수 등 자연
상태의 깨끗한 샘물을 먹기에 적합하도록 제조한 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먹는염지하수
염지하수(鹽地下水)를 먹기에 적합하도록 물리적으로 처리하여 제조한 물을
말합니다. 여기서 '염지하수'란 물속에 녹아있는 염분 등 총용존고형물(總溶
存固形物)의 함량이 2,000㎎/L이상인 암반대수층 안의 지하수로서 수질의
안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자연 상태의 물을 먹는 용도로 사용하는
원수를 말합니다.
3. 먹는해양심층수
해양심층수를 사람이 일상적으로 먹을 수 있도록 적합하게 제조 또는 가공한
물로서 법에서 정한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 '해양심층수'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제1항
제3호에 따른 기본수준면(基本水準面)으로부터 200미터 아래 (다만, 수입하는
해양심층수의 경우는 해당 국가에서 정하는 수심을 말함)의 바다에 존재하며
수질의 안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바닷물로서 법에 따른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을 말합니다.
<생수 유통기간>
1. 먹는샘물과 먹는염지하수
제조일로부터 6개월 이내
2. 먹는해양심층수
제조일로부터 12개월 (1년)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급여의 종류 상식 (0) | 2018.04.29 |
---|---|
카드결제 거부 신고 상식 (0) | 2018.04.09 |
압축공기자동차 에어팟 상식 (0) | 2018.01.09 |
겨울 난방온도 몇도가 적정온도일까 (0) | 2017.12.07 |
자기소개서 잘 쓰는 법 알아볼까요 (0) | 2017.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