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상식

다정가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 해설 참고하세요

꼴두바우 2025. 10. 3.

고려 후기 시인 이조년의 대표작 '다정가'는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로 시작되는데요, 다정가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는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요?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 해설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 해설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 해설>

'다정가(多情歌)'는 초기 시조의 완성된 형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원문은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다정가 원문 내용과 해설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다정가 원문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제 /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야 알랴마는 / 다정(多情)도 병(病)인양 하여 잠못들어 하노라.

 

② 다정가 원문 해설

배꽃에 달이 환하게 비치고 은하수가 자정을 알리고 있는 때에 / 한 가지에 어린 봄날의 정서를 두견이(새)가 알리가 없겠지만 / 다정함이 마치 병과 같아 나는 잠을 들지 못하고 있구나.

<다정가에 사용된 한자어 분석>

① 이화(梨花)

배꽃을 뜻함 (순백의 아름다움과 봄을 강조)

 

② 월백(月白)

달빛이 환하게 비침을 뜻함 (밤의 청명함과 고요함을 강조)

 

 

③ 은한(銀漢)

은하수를 뜻함 (밤하늘을 강조)

④ 삼경(三更)

밤 11시~새벽 1시를 뜻함 (깊은 밤의 정적과 고독감을 강조)

 

⑤ 일지춘심(一枝春心)

한 가지에 어린 봄날의 정서를 뜻함 (사랑, 그리움, 설렘 등을 강조)

 

 

⑥ 자규(子規)

두견이(두견새)를 뜻함 (그리움의 대상을 강조)

 

⑦ 다정(多情)

정이 많음을 뜻함 (다정함이 마치 병과 같다는 것을 강조)

<다정가의 문학적 가치>

다정가는 한국 시가 문학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형식적 완성도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깊은 정서와 섬세한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한국 고전 문학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연과 인간 감정을 조화롭게 표현하는 방식은 후대 많은 시인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으며, 수백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정서를 담고 있어 한국 고전 문학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정가의 교육적 가치>

다정가는 학생들에게 한국 전통 시가의 아름다움을 소개하고, 문학적 감수성을 기르는 데 효과적입니다. 특히 자연 소재를 통한 정서 표현 방식과 함축적 언어 사용은 창의적 글쓰기 교육에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과 함께 이 시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거나, 유사한 정서를 담은 현대시와 비교하는 활동은 고전 문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문학적 상상력을 확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참고사항>

다정가(多情歌)의 저자 이조년(李兆年, 1268~1342)은 귀족 출신이자 고려 후기 문인으로, 충선왕, 충숙왕 시기에 벼슬을 지냈습니다. 그는 깊은 학문적 소양과 문학적 재능을 겸비한 인물이었습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댓글